본문 바로가기

지식

구기자차 효능 알아보고 마시기

오늘은 구기자차 효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에 구기자를 선물로 받았는데, 몸에 좋다는 건 알고 있지만 어디에 어떻게 좋은지를 정확히 몰라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이 구기자는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다면 꼭 섭취해야 하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좋은 효능이 아주 많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동안 효능이 궁금했던 분들은 오늘 포스팅을 잘 읽어주시기를 바라면서 포스팅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수에 좋은 대표적인 음식으로서 진시황제가 줄기, 잎, 뿌리를 달여 자주 마셨다는 구기자입니다. 고지베리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하수오와 인삼과 더불어 3대 명약으로 여겨지기도 한답니다. 특히 구기자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데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염증을 없애주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집중력을 높여주는 음식으로 추천되고 있습니다. 분말 가루의 효능은 지방간과 당뇨 초기 증상에 좋아 인기가 좋습니다. 이번에 저희 아버지가 혈당이 좀 높게 나와서 걱정이 많았던 터라, 이 구기자차를 끓여드려야겠습니다.

또한 허준의 동의보감을 살펴보면, 구기자의 성질은 평범한데 맛이 달콤하여 독이 없으며, 몸이 허약하여 생긴 병을 다스리는데 좋다고 합니다.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하여 얼굴색을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여 장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효과가 기술되어 있답니다. 또한 홍만선의 산림경제를 살펴보면 구기자를 매우 보익하고 눈이 밝아진다고 하였습니다. 본초경에는 꾸준히 복용을 하여주면 근골을 단단하게 하기 때문에 몸이 가벼워져 늙지 않고, 추위와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 효과를 내는 성분에는 제아잔틴, 카로틴, 티아민 등 여러 가지 성분들이 있는데, 그중 핵심 성분은 베타인입니다. 이 베타인은 메틸기의 공유를 통하여 메티오닌의 합성을 촉진하는 과정을 통해서 간 해독작용을 촉진하고 항암 작용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주요 효능으로는 하지 간 작용, 혈압 강하, 항혈당작용, 시력회복, 해독작용, 세포 복제 기능 등이 알려져 있답니다. 또한 친지 질 물질이기 때문에 간장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아주 좋습니다.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며 혈압을 내려주기도 합니다.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이 복용을 해주면 염증이 제거되고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베타인은 수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물을 용매로 하는 차나 탕으로 흡수하면 좋은데 너무 많이 먹으면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답니다. 이 효능을 많이 보고 싶어 너무 많이 섭취할 경우에는 설사, 복통 등의 부작용으로 고생할 수가 있으니 하루에 1일 3잔만 섭취하도록 합시다. 보통 차로 끓여먹는데 이 구기자를 가루로 만들 때에는 영양 성분의 소화 흡수율이 높아지고 차로 끓여 먹으면 수용성인 베타인 흡수율이 높아져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식사 후나 운동 후에 한 잔씩 섭취를 해주면 좋고요, 식사 후에 차를 한 잔씩 마시게 되면 지방의 흡수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좋은 약재인 만큼 다른 나라에서도 참 인기가 좋은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중국에서는 붉은 다이아몬드라고 불릴 만큼 좋은 약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유럽과 북미에서는 항노화 성분과 황산화 물질이 아주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져 건강음료로도 인기가 좋습니다. 차로 끓여서 맛을 보니 확실히 맛에 거부감이 없어 누구나 쉽게 섭취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몸에 좋은 음식이다 보니 남녀노소 많이들 마시는 게 좋은데, 입에 쓴 것이 몸에도 좋다는 말이 무색하게 맛이 괜찮았답니다.

오늘은 이렇게 구기자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그동안 구기자가 몸에 좋다는 소리는 많이 들어보았지만 막상 어디에 어떻게 좋은지 몰라 궁금하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입니다. 간의 질환과 고혈압으로 고생하고 있는 분들은 구기자를 적당량 꾸준히 섭취해 주는 것을 추천하면서 오늘 포스팅은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 조심하시기를 바라며 오늘 포스팅은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